연혁

All Menu

지역문학의 힘으로 민족과 세계를 봅니다.

연혁

  • 2000년대
  • 1990년대
  • 1980년대
  • 2007
    • 9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

    • 8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, 계간 『작가와사회』 28(가을)호 혁신호 발간

    • 7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, 제5회 여름문학캠프 실시

    • 6월
    • 시민과 청소년을 위한 문화광장 개최(6월 매주 금요일), 계간 『작가와사회』 27(여름)호 발간

    • 5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, 효시낭송과 한마당 행사, 관부연락선세미나 개최

    • 4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,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세미나

    • 3월
    • 계간 『작가와사회』 26(봄)호 발간

    • 2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, 총회 개최

  • 2006
    • 12월
    • 계간『작가와사회』25(겨울)호 발간

    • 11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

    • 10월
    • 제9회요산문학제 ,한민족디아스포라-재중민족문학심포지엄 개최,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

    • 9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

    • 8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, 계간 『작가와사회』24(가을)호 발간

    • 7월
    • 동보문화토론광장 실시(매월 둘째주 금요일), 제4회 여름문학캠프 실시

    • 6월
    • 계간『작가와사회』23(여름)호 혁신호 발간

  • 2002
    • 1월
    • <찾아가는 청소년 문학교실> 개최

      <동계문학토론회>

      <청소년 문학워크샵> 공동 개최(부산, 경남, 울산)

  • 2001
    • 12월
    • 『작가사회 10호』발간

    • 10월
    • 제4회 요산문학제 자료집『우리 땅에서 민족과 세계를 본다』발간(전망)

      요산독서감상문 시상(12월)

      백일장 한마당(27일)

      영광독서토론회(24일)

      요산문학상 시상(25일)

      부산작가상 시상(23일)

      문학심포지움(23일)

      문인도서전(22일∼26일)

      소설 낭송회(22일)

      시낭송회(22일)

      거리시화전(22일∼27일)

      문학기행(21일)

    • 9월
    • <청소년, 시민문화강좌>

    • 8월
    • 문학잡지 등록 『작가사회 9호』 발간(동남기획)

    • 7월
    • 하계문학토론회(동보서적 문화홀)

    • 4월
    • 춘계문학토론회(동보서적 문화홀)

      사무국 이전 개설(중앙동 일광빌딩 505호)

    • 2월
    • 정기총회

  • 2000
    • 12월
    • 『작가사회』 8호 발간(해성)

    • 10월
    • 『제3회 요산문학제 자료집』 발간(전망)

      제3회 「요산문학제」 개최(10월20일∼28일)

    • 8월
    • 『제3회 요산문학제 자료집』 발간(전망)

      <사람의 깊이, 삶의 높이> 시민강좌 개최(동보서적, 8월24일∼10월12일

    • 2월
    • 제5차 정기총회(해암뷔페)

  • 1999
    • 12월
    • 『작가사회』 7호 발간(해성)

    • 11월
    • 제2회 「요산문학제」 개최

    • 8월
    • 『작가사회』 6호 발간(해성)

  • 1998
    • 11월
    • 제1회 「요산문학제」 개최

    • 5월
    • 춘계「문학세미나」 개최(YMCA 회의실)

    • 2월
    • 제2대 조갑상 회장 취임

  • 1997
    • 12월
    • 『작가사회』5호 발간

    • 11월
    • 「민족문학제」 개최

    • 8월
    • 부산작가회의 회보(2호)

    • 5월
    • 부산작가회의 회보 창간

  • 1996
    • 11월
    • 『오후 6시30분 부산작가회의 창립총회

    • 7월
    • 중국 조선족 문인들인 연변작가협회와의 공동 작품집『두만강 여울소리 낙동강 갈대소리』발간

  • 1988
    • 12월
    • 영호남 문학인 교류

      문학강연회 및 시 낭송회 다수 개최

      기관지 4호 『문학과 현실』 발간

    • 4월
    • <5·7문학협의회>를 <부산민족문학인협의회>로 확대 개편(회장·윤정규, 회원 60명)

  • 1988
    • 12월
    • 기관지 3호 『문학과 실천』 발간

    • 10월
    • 김정한 고문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장으로 추대

    • 5월
    • 창립 2주년 기념 문학의 밤-염무웅선생 초청 강연회 개최(YMCA 강당)

    • 4월
    • <4·13 호헌 반대 문학인 성명> 참여

  • 1986
    • 7월
    • 정기총회(임원 개선)
      * 집행부 : 고문 / 김정환, 운영위원 / 윤정규 임수생 이규정 이상개, 간사 / 강영환(총무) 구모룡(연구) 류명선(섭외) 최영철(출판)

    • 5월
    • 창립 1주년 기념 문학의 밤 개최(가톨릭센터 강당)

    • 3월
    • 무크지 『토박이』 2집 판매금지 당함

    • 1월
    • 무크지 『토박이』 2집 발간(기관지 1호)

  • 1985
    • 5월
    • <5·7문학협의회> 출범(문학창작의 자유와 사회적 정의실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樂山 金廷漢 선생의 발의 / 인원:39명)
      * 집행부 : 고문 / 김정한, 운영위원 / 윤정규(상임) 임수생 이규정 김중하, 간사 / 강영환1985∼1988년 정기회보 발간 및 각종 성명서 발표, 매월 문학토론회 개최

Top